소의 눈물 … 워낭소리가 스러진다.
100만 마리 살처분 ‘구제역 대재앙’… “배불리 가라” 농부는 마지막 여물을 준비했다.
7일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노곡리 백운한우영농조합법인 목장. 결국 구제역 재앙(災殃)이 목장을 덮쳤다. 이날 최씨는 396마리의 소를 가슴에 묻었다.
지난해 11월 말 경북 안동에서 구제역이 발생했다는 소식을 듣고 그는 24시간 목장에서 살았다. 사료 차 외에는 아무도 목장에 얼씬거리지 못하게 했다. 지난달 31일에는 모든 소에게 구제역 예방 백신을 접종했다. 그러나 6일 새벽 축사 안의 소 3마리가 침을 흘렸다. 다리에 힘이 빠졌다. 저절로 무릎을 꿇었다. “아! 결국….” 양성 판정이 나왔다.
‘좋은 한우를 키워보자’며 그는 30년간 소와 함께 살았다. 소가 끄는 달구지에 타고 그는 세상을 헤쳐나갔다. 소는 그의 자식이자 어떨 때는 친구였다. 송아지가 태어나 식구가 늘면서 두 아들도 대학공부를 시킬 수 있었다. 소는 말을 못했지만 끔뻑거리는 눈으로 그에게 말을 거는 듯했다. 최씨는 이날 이런 소의 눈을 제대로 쳐다볼 수 없었다.
최씨는 과거 여물을 끓이는 것과 같은 정성을 담아 최고급 사료를 수북이 담아냈다. "마지막 가는 길, 배불리 먹고 가라고요.”
김기택 시인은 소의 눈을 ‘순하고 동그란 감옥’이라고 했다. 최씨는 이 순하고 동그란 감옥의 문이 닫히는 걸 보고 자기 가슴에도 지울 수 없는 감옥이 들어선 느낌이었다.
“아내가 걱정이죠. 애들처럼 애지중지한 소들인데….”
그의 아내(55)는 이날 아예 목장을 찾지 않았다. 소들이 가는 뒷모습을 볼 수 없다며 하루종일 집에서 나오지 않았다. 아내가 우울증에 걸릴까 최씨는 걱정이다. “잠이 올까요? 저 술 한잔 하렵니다. 취해도 자지 않을 겁니다. 꿈 속에 얘네들이 나올 것 같아서요.”
‘소의 커다란 눈은 무언가 말하고 있는 듯한데/나에겐 알아들을 수 있는 귀가 없다 /수천만 년 말을 가두어 두고/그저 끔벅거리고만 있는/오, 저렇게도 순하고 동그란 감옥이여.’(김기택의 시 ‘소’)
“잘 가거라, 이 아비는 아무 할 말이 없구나….”
[중앙일보] 2011.01.08 글=최모란 기자
◆구제역(口蹄疫)=가축의 입(口)과 발굽(蹄)에 물집이 잡히는 바이러스성 전염병으로 치사율이 5~55%에 이른다. 소·돼지·양·사슴처럼 발굽이 두 개로 갈라진 동물(우제류·偶蹄類)에서 발생한다.
소의 눈물 - 이수
소에겐 알아들을 수 있는 귀가 없다
우이독경, 소는 뉴스 같은 건 들은 적도 없다
멀뚱멀뚱 커다란 눈만 껌벅이며
오로지 주인님 한 분만 바라보고 살았다
배고플 때 여물을 던져주면
고맙다는 한 마디도 못하고 눈으로만 인사했다
세상을 눈으로 보았다
그런데 어느 날, 트럭에 실리더니
굉음 토해놓는 포클레인 밑에 무더기로 묻히고 말았다
지금껏 한 번도 생각지 못했던 이 처참함,
소의 눈물을 그대는 보았는가?
하얀 눈 덮인 계곡에서 소도 울고 사람도 울고
눈물 많은 세상에서
모가지가 짧아 슬픈 동물이여!
구제역 파노라마 - 장인수
한 마리, 두 마리... 그리고 수 십 마리 수 백 마리가
영문도 모르고 하루아침에 끌어 묻혔다.
세상인심이 병들었다지만 몇 년을 한 우리 안에서 동거했을 진데
소주 몇 사발을 마신다고 죽은 가족의 슬픔이 잊혀 지겠소?
애석도다. 그대들이여! 전생에 무엇이었기에 소로 태어나
이 험한 꼴을 당해야 한단 말인가?
모두가 인간의 잘못으로 그대들을 사지로 몰아넣었음이야
우리는 큰 죄를 지었네. 부디 용서해 주시게
하늘에 가거든 구제역 없는 청정한 들판에서 편히 풀 뜯으며,
평화로운 친구들과 영원히 함께 행복하게 살길 바라네.
우리를 원망하시게 정말 미안하네.
|